2019 - 2020 수행 연구
목재제품별 주요 메타데이터 선정을 위한 연구
- 국내외 유관 기관 현황 및 동향 조사
- 목재이용관련 연구데이터 분석결과 및 목재제품의 규격과 품질기준을 이용한 1차 메타데이터 요소 선정, 메타데이터 표준을 이용한 2차 메타데이터 선정, 전문가 인터뷰 및 설문조사를 통한 3차 메타데이터 요소 선정 등의 과정을 통해 목재이용 관련 연구데이터 구축을 위한 메타데이터 요소 도출
외부 지질분야 연구데이터 등록·활용 및 Geoscience 분야 연구자료 제공 방안 연구
-
해외 선진 기관의 연구데이터 관리 서비스와 가이드라인 및 체크리스트 분석
-
Geoscience 연구데이터 서비스 모델과 가이드라인 및 체크리스트 도출
생태빅데이터 구축을 위한 데이터 가공 및 연계시스템 개발
- 데이터 출판을 위한 메타데이터 요소 검토 및 구성 방안 마련
- 생태정보 및 데이터 공유 · 관리를 위한 메타데이터 구성 방안 마련
국가과학기술콘텐츠 종합링킹체제 구축 연구
-
학술정보자원 식별자 연구: 식별자 구축 현황을 조사하고 국내외 식별자 및 연계 서비스 조사하여 글로벌 식별자 수집 및 구축 방안을 연구
-
KISTI 종합링킹체제 구축 방안 제시: KISTI 식별자 관리 및 서비스 현황 분석을 통해 글로벌 식별자를 활용한 새로운 콘텐츠 구축 방안을 연구하고 콘텐트 종합링킹 체제 구축을 위한 실행 방안 및 로드맵 개발
목재·목재제품 관련 국제 표준에 따른 메타데이터 스키마 도출
- DCAT 기반 목재·목재제품 데이터베이스 필드 요소 제시
- 연구데이터 컬렉션 및 DCAT 요소를 대상으로 전문가 인터뷰
연구업무 프로세스별 데이터 표준화
- 연구업무 프로세스 분석
- 프로세스별 연구방법 및 데이터 유형 분석
- 데이터 공유 및 활용을 위한 메타데이터 작성
연구데이터 관리 서비스 방안 수립
- KAIST 연구 현황 / KASIT 도서관 Legacy 시스템 현황 조사
- 국내외 기관 DMP 현황 조사를 바탕으로 DMP Boiler Template 작성
- 설문조사를 통해 연구데이터 관리 서비스 요구사항을 수집하여 KAIST RDMS 모델 및 구현방안 제안
No. |
연구 과제명 |
공동연구 기관 |
1 |
§목재제품별 주요 메타데이터 선정을 위한 연구 |
산림과학원 |
2 |
§외부 지질분야 연구데이터 등록·활용 및 Geoscience 분야 연구자료 제공 방안 연구 |
한국지질자원연구원 강원대학교 |
3 |
§생태빅데이터 구축을 위한 데이터 가공 및 연계시스템 개발 §생태분야 메타데이터 표준방안 수립 및 TTA 제안 지원 |
국립생태원 ㈜ 웨이버스 |
4 |
§장기생태 연구데이터 DB 개선 및 유지보수 용역 |
국립생태원 |
5 |
§국가과학기술콘텐츠 종합링킹체제 구축 연구 |
한국과학기술 정보연구원 |
6 |
§목재 목재제품 관련 국제 표준에 따른 메타데이터 스키마 도출 |
산림과학원 |
7 |
§연구업무 프로세스별 데이터 표준화 |
농촌진흥청 |
8 |
§연구데이터 관리서비스 방안 수립 |
한국과학기술원 |
9 |
§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(DX) 지원을 위한 데이터 리포지토리 구축 및 운영지원 |
농촌진흥청 아르고넷 |